본문 바로가기

정리된 글/일상

답답해서 간이세액 직접 계산해보기

반응형

 

 월급을 받으면, 각종 공제내역과 함께 고정적으로 떼고 주는 액수가 있다.

내 월급 관리를 위해서 초과근무 등에 따라 세후 얼마를 받을지를 계산하고 싶었는데,

세전 월급이 바뀌면 따라서 바뀌는, 소득세와 지방소득세. 이녀석들을 미리 알아볼 필요가 있었다.

 

좀 찾아보니까, 소득세를 연말에 한번에 정산하는것은 기업에서도, 개인에게도 큰 부담이기에 완화 목적으로 소득세를 미리 공제하여 주는 것이라고 하는데, 문제는 이게 고정비율이 아니라는 점이다. (고정비율로 해놓지 왜...)

 

그럼 내 세금에 따라서 얼마 나오는지라도 계산을 할 수 있도록 수식이라도 제공해주면 좋은데

내가 잘 못 찾는 것일까... 국세청에서도 계산식은 없고 그냥 간이세액표에서 일일이 급여를 검색해서 세금을 조회하라고 한다.

아니 공식이 필요하다니까요 ㅠㅠ

 

찾다가 짜증이 너무 나서 그냥 간이세액을 구간별로 찍어보고 fitting해서 직접 계산해보기로 했다!

 

 

간이세액?

 

 - 원천징수의무자에게 원천징수하는 소득세, 실제로 계산된 소득세와의 차이만큼 연말정산에서 고려된다.
홈택스에서 근로소득간이세액표를 통해 급여를 입력하여 조회하는 방식으로 지원한다.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반응형

 


 

근로소득 간이세액 추세를 그려보자.

 

먼저, 간이세액표에서 금액을 찍어보면 나오는 금액중, 어짜피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모두 합산한 금액이 궁금한것이니 가장 아래의 값을 선택하기로 한다.

100%중 납부세액 합계액으로 취합해본다.

 

이때 급여별 납부세액은 이러했다. (2023년 9월 기준)

 

 

사실 별거없고, 그냥 이걸 그려보면 된다. 급여별로 세금을 얼마나 내야하는지!

 

2차함수 모양으로 나온다.

 

그냥 간단한 2차함수로 나오는 것 같은데, 왜 이 수식을 제공 안 해 줬을까...

2차함수가 아니라서 그럴수도 있긴하다.

어쨋든 나는 간단하게 예측만 해볼 수 있으면 되니까, 세금을 이 함수로 계산해보기로 한다.

 

행정은 늘 번거로운 것 같다.

반응형